광주군 (전라남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군은 삼국 시대에는 무진주, 남북국 시대에는 무주로 불리다가, 1895년 나주부 광주군으로 개편되었고, 1896년 전라남도 광주군이 되었다.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면 통폐합이 이루어져 15개 면으로 재편되었으며, 1931년 광주면이 광주읍으로 승격되고 우치면과 본촌면이 지산면으로 합면되었다. 1935년 광주읍이 광주부로 승격되면서 광주군은 광산군으로 개칭되었다.
삼국 시대에는 무진주(武珍州)라 불리었고, 남북국 시대에는 무주(武州)라 불리었다.
2. 역사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고종의 칙령에 의해 나주부 광주군으로 개편되었다.[16]
1896년 8월 4일 13도 시행에 따라 전라남도 광주군으로 개편되었다.[17] 당시 광주군은 성내면, 공수방면, 부동방면, 기례방면, 지한면, 석저면, 상대곡면, 하대곡면, 우치면, 갑마보면, 석제면, 삼소지면, 천곡면, 마지면, 거치면, 흑석면, 와곡면, 소고룡면, 우산면, 고내상면, 소지면, 동각면, 마곡면, 선도면, 당부면, 방하동면, 대지면, 계촌면, 칠석면, 유등곡면, 덕산면, 내정면, 황계면, 군분면, 서양면, 두방면, 오치면, 도천면, 효우동면, 갈전면, 대치면의 41개 면을 관할했다.
1914년 4월 1일 일제는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함평군 오산면을 편입하고, 담양군으로 대전면을 편입하는 대신 갈전면과 대치면을 가져오는 등 군·면 통폐합을 단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15개 면으로 정리되었다.
1931년 4월 1일 광주면이 광주읍으로 승격되었고, 우치면과 본촌면을 지산면(芝山面)으로 합면하였다. (1읍 13면)
1935년 4월 1일 서방면, 지한면, 효천면, 극락면의 각 일부가 광주읍에 편입되었고, 효천면과 지한면을 효지면(孝池面)으로 합면하였다. (1읍 12면)
1935년 10월 1일 광주군 광주읍이 '''광주부'''로 승격되어 분리되었고, 광주군은 '''광산군'''으로 개칭되었다.[1]
2. 1. 1910년 ~ 1945년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일제는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함평군 오산면을 편입하고, 담양군으로 대전면을 편입하는 대신 갈전면과 대치면을 가져오는 등 군·면 통폐합을 단행하였다.[18] 이 과정에서 전통적인 생활권과 지역 정체성이 훼손되었다는 비판이 있다.
1914년 당시 광주군의 행정구역과 현재의 행정구역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1914년 | 현재 | ||
---|---|---|---|
면 | 정·리 | 구 | 동 |
광주면 (光州面)[3] | 궁정, 동문통, 서문통, 남문통, 북문통 일부, 북문통 일부, 동광산정, 서광산정, 서성정, 북성정 일부, 북성정 일부, 중정, 화원정, 부동정, 금정, 서남리 일부, 서남리 일부, 금계리, 향사리, 성저리 일부, 성저리 일부, 수기옥정 일부, 수기옥정 일부 | 광주광역시 동구 | 궁동, 장동, 충장로 일부, 충장로 일부, 충장로 일부, 금남로 일부, 대의동, 광산동, 황금동, 충장로 일부, 금남로 일부, 금남로 일부, 호남동, 불로동, 금동 일부, 남동, 서석동, 금동 일부, 구동+사동, 금남로 일부, 대인동, 수기동, 충장로 일부 |
누문리 일부, 누문리 일부 | 광주광역시 북구 | 누문동, 북동 | |
서방면 (瑞坊面)[4] | 우산리, 중흥리, 장호리, 풍향리 일부, 두암리, 각화리, 문흥리, 용봉리, 오치리, 삼각리, 매곡리, 신안리 일부, 신안리 일부, 신안리 일부 | 우산동, 중흥동, 산수동 일부, 풍향동, 두암동, 각화동, 문흥동, 용봉동, 오치동, 삼각동, 매곡동, 신안동, 임동, 유동 | |
풍향리 일부, 동계리 일부, 동계리 일부, 동계리 일부 | 광주광역시 동구 | 계림동, 동명동, 산수동, 지산동 | |
지한면 (池漢面) | 소태리, 홍림리, 운림리, 내남리, 선교리, 용연리, 용산리, 월남리 | 소태동, 학동, 운림동, 내남동, 선교동, 용연동, 용산동, 월남동 | |
석곡면 (石谷面)[5] | 금곡리, 충효리, 덕의리, 화암리, 청풍리, 망월리, 장등리, 운정리 | 광주광역시 북구 | 금곡동, 충효동, 덕의동, 화암동, 청풍동, 망월동, 장등동, 운정동 |
우치면 (牛峙面) | 생용리, 용전리, 용강리, 효령리, 수곡리, 태령리 | 생용동, 용전동, 용강동, 효령동, 수곡동, 태령동 | |
본촌면 (本村面)[6] | 본촌리, 용두리, 지야리, 신용리, 연제리, 양산리, 일곡리, 월산리, 대촌리, 오룡리 | 본촌동, 용두동, 지야동, 신용동, 연제동, 양산동, 일곡동, 월출동, 대촌동, 오룡동 | |
극락면 (極樂面)[7] | 운암리, 동림리 일부 | 운암동, 동림동 | |
덕흥리, 유촌리, 동림리 일부, 쌍촌리, 치평리, 신례리, 화정리, 내방리 일부, 내방리 일부 | 광주광역시 서구 | 덕흥동, 유촌동, 동천동, 쌍촌동, 치평동, 농성동, 화정동, 내방동, 광천동 | |
서창면 (西倉面)[8] | 세하리, 벽진리, 매월리, 마륵리, 금호리, 풍암리, 용두리, 서창리 | 세하동, 벽진동, 매월동, 마륵동, 금호동, 풍암동, 용두동, 서창동 | |
송대리 | 광주광역시 광산구 | 송대동 | |
송정면 (松汀面)[9] | 신촌리, 우산리, 도산리, 도호리, 서봉리, 인암리, 운수리, 소촌리, 송정리 | 신촌동, 우산동, 도산동, 도호동, 서봉동, 인암동, 운수동, 소촌동, 송정동 | |
비아면 (飛鴉面)[10] | 비아리, 도촌리, 쌍암리, 월계리, 산월리, 수완리, 신창리, 신가리, 운남리 | 비아동, 도천동, 쌍암동, 월계동, 산월동, 수완동, 신창동, 신가동, 운남동 | |
하남면 (河南面)[11] | 안청리, 진곡리, 오산리, 장덕리, 흑석리, 하남리, 장수리, 산정리, 월곡리 | 안청동, 진곡동, 오선동, 장덕동, 흑석동, 하남동, 장수동, 산정동, 월곡동 | |
임곡면 (林谷面)[12] | 고룡리, 신룡리, 두정리, 박호리, 등임리, 산막리, 임곡리, 사호리, 오산리, 광산리 | 고룡동, 신룡동, 두정동, 박호동, 등임동, 산막동, 임곡동, 사호동, 오산동, 광산동 | |
동곡면 (東谷面)[13] | 황룡리, 복룡리, 요기리, 하산리, 유계리, 용봉리, 본덕리 | 황룡동, 복룡동, 요기동, 하산동, 유계동, 용봉동, 본덕동 | |
효천면 (孝泉面)[14] | 교사리 일부 | 광주광역시서구 | 양동 |
봉선리, 벽도리, 주월리 일부, 주월리 일부, 진월리, 송하리, 임암리, 행암리, 노대리, 덕남리, 양림리 일부, 양림리 일부, 교사리 일부 | 광주광역시 남구 | 봉선동, 백운동, 주월동, 월산동, 진월동, 송하동, 임암동, 행암동, 노대동, 덕남동, 양림동, 방림동, 서동 | |
대촌면 (大村面)[15] | 도촌리, 구소리, 신장리, 칠석리, 석정리, 화장리, 대지리, 월성리, 양촌리, 승촌리, 압촌리, 지석리, 양과리, 이장리, 원산리 | 도금동, 구소동, 신장동, 칠석동, 석정동, 화장동, 대지동, 월성동, 양촌동, 승촌동, 압촌동, 지석동, 양과동, 이장동, 원산동 |
[1]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2호 도의위치관할구역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의규정
1935-09-28
1923년 효천면 양림리, 교촌리, 지한면 홍림리 일부, 원지리, 서방면 동계리, 신안리 각 일부를 광주면에 이관하였다.
1931년 4월 1일 광주면이 광주읍으로 승격되었고,[19] 우치면과 본촌면을 지산면(芝山面)으로 합면하였다. (1읍 13면)
1935년 4월 1일 서방면, 지한면, 효천면, 극락면의 각 일부가 광주읍에 편입되었고, 효천면과 지한면을 효지면(孝池面)으로 합면하였다.[20]
1935년 10월 1일 광주군 광주읍이 '''광주부'''로 승격되어 분리되었고, 광주군은 '''광산군'''으로 개칭되었다.[1]
3. 1914년 행정구역과 현재 행정구역 비교
1914년 현재 면 정·리 구 동 광주면[3] 궁정, 동문통, 서문통, 남문통, 북문통 일부, 동광산정, 서광산정, 서성정, 북성정 일부, 중정, 화원정, 부동정, 금정, 서남리 일부, 금계리, 향사리, 성저리 일부, 수기옥정 일부 광주광역시 동구 궁동, 장동, 충장로 일부, 금남로 일부, 대의동, 광산동, 황금동, 호남동, 불로동, 금동 일부, 남동, 서석동, 구동·사동, 대인동, 수기동 누문리 일부 광주광역시 북구 누문동, 북동 서방면[4] 우산리, 중흥리, 장호리, 풍향리 일부, 두암리, 각화리, 문흥리, 용봉리, 오치리, 삼각리, 매곡리, 신안리 일부 우산동, 중흥동, 산수동 일부, 풍향동, 두암동, 각화동, 문흥동, 용봉동, 오치동, 삼각동, 매곡동, 신안동, 임동, 유동 풍향리 일부, 동계리 일부 광주광역시 동구 계림동, 동명동, 산수동, 지산동 지한면 소태리, 홍림리, 운림리, 내남리, 선교리, 용연리, 용산리, 월남리 소태동, 학동, 운림동, 내남동, 선교동, 용연동, 용산동, 월남동 석곡면[5] 금곡리, 충효리, 덕의리, 화암리, 청풍리, 망월리, 장등리, 운정리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충효동, 덕의동, 화암동, 청풍동, 망월동, 장등동, 운정동 우치면 생용리, 용전리, 용강리, 효령리, 수곡리, 태령리 생용동, 용전동, 용강동, 효령동, 수곡동, 태령동 본촌면[6] 본촌리, 용두리, 지야리, 신용리, 연제리, 양산리, 일곡리, 월산리, 대촌리, 오룡리 본촌동, 용두동, 지야동, 신용동, 연제동, 양산동, 일곡동, 월출동, 대촌동, 오룡동 극락면[7] 운암리, 동림리 일부 운암동, 동림동 덕흥리, 유촌리, 동림리 일부, 쌍촌리, 치평리, 신례리, 화정리, 내방리 일부 광주광역시 서구 덕흥동, 유촌동, 동천동, 쌍촌동, 치평동, 농성동, 화정동, 내방동, 광천동 서창면[8] 세하리, 벽진리, 매월리, 마륵리, 금호리, 풍암리, 용두리, 서창리 세하동, 벽진동, 매월동, 마륵동, 금호동, 풍암동, 용두동, 서창동 송대리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대동 송정면[9] 신촌리, 우산리, 도산리, 도호리, 서봉리, 인암리, 운수리, 소촌리, 송정리 신촌동, 우산동, 도산동, 도호동, 서봉동, 인암동, 운수동, 소촌동, 송정동 비아면[10] 비아리, 도촌리, 쌍암리, 월계리, 산월리, 수완리, 신창리, 신가리, 운남리 비아동, 도천동, 쌍암동, 월계동, 산월동, 수완동, 신창동, 신가동, 운남동 하남면[11] 안청리, 진곡리, 오산리, 장덕리, 흑석리, 하남리, 장수리, 산정리, 월곡리 안청동, 진곡동, 오선동, 장덕동, 흑석동, 하남동, 장수동, 산정동, 월곡동 임곡면[12] 고룡리, 신룡리, 두정리, 박호리, 등임리, 산막리, 임곡리, 사호리, 오산리, 광산리 고룡동, 신룡동, 두정동, 박호동, 등임동, 산막동, 임곡동, 사호동, 오산동, 광산동 동곡면[13] 황룡리, 복룡리, 요기리, 하산리, 유계리, 용봉리, 본덕리 황룡동, 복룡동, 요기동, 하산동, 유계동, 용봉동, 본덕동 효천면[14] 교사리 일부 광주광역시 서구 양동 봉선리, 벽도리, 주월리 일부, 진월리, 송하리, 임암리, 행암리, 노대리, 덕남리, 양림리 일부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동, 백운동, 주월동, 월산동, 진월동, 송하동, 임암동, 행암동, 노대동, 덕남동, 양림동, 방림동, 서동 대촌면[15] 도촌리, 구소리, 신장리, 칠석리, 석정리, 화장리, 대지리, 월성리, 양촌리, 승촌리, 압촌리, 지석리, 양과리, 이장리, 원산리 도금동, 구소동, 신장동, 칠석동, 석정동, 화장동, 대지동, 월성동, 양촌동, 승촌동, 압촌동, 지석동, 양과동, 이장동, 원산동
참조
[2]
간행물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3]
기타
[4]
기타
[5]
기타
[6]
기타
[7]
기타
[8]
기타
[9]
기타
[10]
기타
[11]
기타
[12]
기타
[13]
기타
[14]
기타
[15]
기타
[16]
법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17]
법령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1896-08-04
[18]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위치관할구역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의규정
1913-12-29
[19]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읍·면및읍·면장에관한규정
1931-02-29
[20]
법령
도령 제6호
1935-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